전체 글 953

말하기의 기본 원칙

글은 펜보다 강하고, 한마디 말은 천 냥 빚을 갚는다고 합니다. 말하는 태도나 언어로 사람의 인격을 보여줍니다. 무례한 언어는 상대를 다치게 하고, 자신을 해칩니다. 언어는 사람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합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바른 단어를 쓰고, 잘 듣고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자신만이 이해하는 언어, 듣지 않고 자신의 말만 되풀이하는 것은 공감이 되지 않습니다. 말하는 자세와 태도는 사람의 품격을 이야기합니다. 말하는 기본 원칙!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천천히 말하고, 너무 많이 말하지 말아라. 제가 꼭 기억하고 싶은 말입니다.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천천히 말하고, 너무 많이 말하지 말라. Talk low, talk slow and don't say too much. - 존 웨인

공감의 언어, 감정의 동물

논리가 힘이 셀까요? 감정이 힘이 셀까요? 사람은 감정의 먼저이지 않을까요? 마음을 움직이는 언어가 함께하지 않은 논리가 마음속 어디까지 전달될 수 있을까요? 가족들과, 회사 동료들과 크고 작은 사회에서 소통이 필요할 때, 공감이 필요할 때 생각하면 좋을 것 같은 말입니다. 우리가 사람을 대할 때, 논리의 동물을 대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기억할 일이다. 우리는 감정의 동물, 편견으로 마음이 분주하고 자존심과 허영에 따라 움직이는 동물과 상대하고 있는 것이다. -데일 카네기

디지털 훈민정음 운동에 동참해 주세요^^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전남, 경북, 전북, 강원도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가 넘어섰습니다. 4차 기술혁명,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다가왔습니다. 비대면 사회, 디지털 사회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디지털 시대 공감을 소개합니다.(www.imhappy.org) ------------ 한글만 알아도 불편하지 않았던 시대에서 영어와 기호, 디지털 기기도 다룰 줄 알아야 하는 세상입니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담아 기본원리부터 단계별로 디지털 시대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조금 더 친절한 사회,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해 디지털 훈민정음 운동에 동행해주시길 바랍니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한 아름다운 동행에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